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즉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장애로서 지속적인 주의력 산만 및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최근들어 ADHD는 가정과 학교에서 학업부진의 주된 원인으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문제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남자 초등학생의  10%, 여자 초등학생의 5%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로 학업에 지장을 받고 있으며, 사실 거의 모든 학급에서 주의력 결핍이나 과잉행동으로 인한 문제 학생을 발견할 수 있는 아동기의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중의 하나입니다.

 ADHD의 증상들로 인해 또래관계, 학업성취,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전반적인 생활에서 아이들이 어려움을 겪게 되고 
집에서는 야단맞은 아이, 학교에서는 선생님에게 찍힌 아이, 친구가 없는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ADHD의 원인은 뚜렷하지는 않지만
 ①뇌에서 주의집중력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②뇌 전두엽의 기능저하 ③유전적인 요인 ④드물지만 납 등 독성물질들이 의심됩니다.

과잉행동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며 지껄이는 행동으로 아동들은 항상 가고 있는 상태, 꼼지락거리고 안절부절, 
흥얼거리기, 가능한 소란 피우기, 끊임없이 말하기, 끊임없이 오르락내리락 거리기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주의력 결핍증상

 일상생활에서 부주의해
실수를 많이 한다
공부, 놀이에 집중하지 못한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반항도 아닌데
지시사항을 따르지 못한다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지속적인 정신집중을 필요로 하는
활동을 싫어하거나 회피한다 
필요한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외부의 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일상생활 활동을
자주 잊는다
과잉행동 및
충동성 증상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손발을 꼼지락거린다
교실처럼 한자리에 앉아 있어야 할
자리에서 돌아다닌다 
공공장소에서 뛰어 다니거나
높은 곳에 오른다 
여가활동을
조용히 하지 못한다 
모터가 달린 장난감을
쉴 새 없이 움직인다
말을 너무 많이 한다 
질문이 끝나기 전에
불쑥 대답한다 
차례를 못 기다린다 
 다른 사람의 활동에 끼어들거나
방해한다
확대

위의 주의력 결핍증상 및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에서 9가지 중 6가지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 진단 (미국정신의학회)

맑은 자연환경 속에서 마음껏 뛰어 놀며 몸과 마음을 맑게 할 수 있는 것들은 점차 부족해져 가고, 사회 환경이 아이들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쪽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런 반면에 여성들의 사회 참여가 늘어나면서 직장을 다니는 분들이 많아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육아시설에 맡겨지면서 
엄마의 따뜻한 감정을 느끼지 못해서 오는 심리적 불안 상태에서 
여러 유해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ADHD와 같은 소아정신질환의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아이들은 육체적으로도 성인처럼 성숙되어 있지 못하지만 정신적으로도 아직 미성숙 상태여서 작은 심리적 자극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극이 심해지면 다양한 형태의 병증으로 나타납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세심하게 몸 상태를 관찰하여야 하고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합니다. 
겉으로 보이는 키가 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신적으로도 잘 성장할 수 있도록 깊은 관심을 가져주어야 합니다.

ADHD 아이의 경우 태어날 때부터 일정정도 인체의 기 흐름의 균형이 깨어진 것입니다. 
인체는 머리, 가슴, 사지로 기혈의 순행이 균형을 이루며 잘 소통이 되어야 하는데
 ADHD 아이들의 경우는 기혈이 머리 위쪽으로 역상됨으로써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장시간의 TV·컴퓨터게임,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오래 지속이 되면 일반적인 아이들도 기혈이 머리쪽으로 역상되어 참을성이 없어지고, 
행동이 충동적이 되고, 사소한 일에도 짜증을 내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의 ADHD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희 삼대한의원에서는 ADHD의 원인에 따라 심장의 기운을 맑혀주고(淸心), 간장의 화기를 내려주고(淸肝火), 
정신을 안정시켜주는(安神) 작용이 있는 약물과 증상에 따라 침, 약침, 환약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ADHD를 치료하고 있습니다.